긴 연휴에 깨어진 수면시간 회복하기
긴 연휴에 깨어진 수면시간 회복하기
요즘 휴가를 다녀오시는 분들이 많거나 월/금 요일 월차를 사용해서 조금 길게 휴식을 취하거나 여행을 다녀오는 분들이 많습니다. 혹은 대체휴일과 주말을 이용해서 장시간 휴식을 취하시려고 하는 분들도 많은데요, 이런 분들 중에서 적지않은 분들이 일상생활으로 돌아왔을때 제대로 잠을 청하지 못하거나 아침에 일어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긴 연휴동안 아주 늦은 잠과 평상시보다 2~4시간 늦게 일어나는 기상시간으로 인해서 수면리듬이 깨어진 것이 가장 큰 부분이 아닐가 합니다.
| 사람은 정신적이고 신체적인 피로감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수면시간이 필요합니다.
성인기준 대략 7~8시간은 수면을 취해야 정신과 신체가 빠르게 회복이 되고, 일상이나 다른 일을 시작하더라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연휴에 깨어진 수면리듬은 이러한 충분한 수면을 보장하지 못하게 됩니다. 그래서 가능하면 빠르게 수면리듬을 찾아야 합니다.
※ 수면리듬을 회복하기보다는 연휴에도 너무 늦게 자지않고 늦게 일어나지 않고 낮잠을 자지 않으면서 수면리듬을 지켜가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 수면시간을 회복하는 요령
1. 주간졸림증상으로 카페인 음료 너무 많이 마시지 말고 오후 5시 이후에 섭취 금지
2. 아침에 일어나면 창문을 열고 햇빛을 보고 오후에도 햇빛을 보면서 가볍게 산책
3. 입맛이 없더라도 규칙적인 시간에 식사를 하고 야식은 절대 금물
4. 저녁에 잠자는 시간 전에 20~30분 가볍게 운동을 시작
5. 잠들기 2시간 전에 휴대폰 게임 pc게임 등은 피하는 것
가장 중요한 것이 잠이 잘 오지 않는다고 침실에 스마트폰을 가지고 가서 그 시간에 작동을 하는 것인데요. 이러한 작업들은 눈에 강한 빛을 쏘기 때문에 잠을 청하는데 큰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가능하면 침실에 스마트폰은 가져가지 않거나 멀리 두는 것이 좋습니다.
'유용한 정보모음 > 건강/생활정보/다이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골이는 왜 여성보다 남성 환자가 많은 것일까? (0) | 2015.08.14 |
---|---|
밥을 먹은 후에 금새 배가 고프다면 물부터 마셔보자 (0) | 2015.08.11 |
여름철 식중독 장염 증상을 대처하는 요령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5.08.07 |
하루 한끼 빵으로 챙겨먹는 식사빵 문제가 없을까? (0) | 2015.08.05 |
동적인 스트레칭 보다 정적인 스트레칭이 운동전에 도움이 된다 (0) | 2015.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