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추워지면 이상하게 소화가 안되는 것 같은데 왜 그럴까?

2025. 1. 21. 00:51
728x90

날씨가 추워지게 되면 우리 몸에 여러가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그 중에는 소화력도 있을 수 있는데요, 겨울에는 다른 계절보다 이상하게 소화가 잘 안되는 느낌이 들고 소화 불량이 발생하기도 하고 변비가 쉽게 찾아오게 되기도 합니다. 그리고 이런 현상이 발생하면 생각보다 오래 이런 상황들이 지속이 되게 되는데요, 왜 이렇게 소화력이 떨어지게 되며 이런 증상들은 왜 생각보다 오래 유지가 되는 것일까요?

 

이는 몇가지의 요인들이 있다고 합니다. 대표적인 것은 "추위"로 인한 신체 활동량이 부족해지기 때문입니다. 추위가 심해지게 되면 실외 활동이 많이 줄어들게 되고 실내에서의 움직임도 많이 부족해지게 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신체의 활동량이 부족해지게 되면 위장이나 소장 대장과 같은 소화기관에 활동량이 떨어지게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렇게 활동량이 부족한데 먹는 음식은 더 자극적이고 많아지게 되며 기름진 음식을 더 많이 먹게 되는 것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겨울에 음식들은 국물요리가 많거나 혹은 달달하고 뜨거운 음식들이 많은 편인데요, 이런 음식들은 나트륨의 함량이 높고 당분의 함량이 높으며 기름진 음식들이 많습니다. 호떡과 같은 음식은 마가린으로 튀기듯 만들고 밀가루 피 안에는 설탕을 녹여서 만든 속이 가득차 있기 때문에 고 칼로리의 음식이며 많이 주문해서 먹는 마라탕과 같은 음식들 역시 고칼로리의 음식인 만큼 그리고 고지방의 음식인 만큼 소화가 잘 안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무엇보다 식사 후 간식을 먹는 날이 많아지게 되면서 더욱 더 소화가 잘 안되는 문제들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편입니다.

 

 

추위에 많이 노출되는 경우에도 소화가 잘 안될 수 있습니다.

추워지게 되면 우리 몸은 소화를 위해서 혈액이 소화기관에 모이는 것이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추위로 인해서 혈액이 체온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이 되는 만큼 소화력이 떨어지게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평소보다 활동량이 낮아진 상황에서 위장의 운동이 작아지고 또 고칼로리 고지방의 음식을 먹으면서 소화가 잘 안되는 상황에서 추위로 인해서 소화력이 떨어지게 되면서 소화가 안되고 답답해지는 기간이 길어지게 될 수 있다는 것이죠. 

 

무엇보다 소화가 안되는 것 같으면 속이 편한 음식을 먹는 것이 좋은데, 소화가 안되고 입맛이 떨어질수록 자극적이고 맵고 기름진 음식을 생각하게 되는 만큼 이런 소화 불량의 상태가 오래 지속되게 될 수도 있습니다.

 

 

 

728x90

고양이네집사 유용한 정보모음/건강/생활정보/다이어트